뭘 사야될지 몰라서 ETF를 샀는데,
보수를 내라네?
근데 언제 어떻게 내라는 거지?
그 전에 우선 수수료와 보수의 차이점을 알고 가즈아
거래수수료와 보수 차이점
정확하게 말하면 ETF에 투자할 때
2번의 수수료가 발생
'거래수수료'와 '보수'
ETF라는 상품을 만드는 건 자산운용사고, 판매는 증권사가 하는것
그래서 나 대신에 자산운용사에서
종목을 구성하고 관리해주만큼
자산운용사가 보수를 받아가는거고
그ETF를 증권사 어플에서 쉽게 사고팔고하죠?
그래서 매매 수수료, 거래 수수료를 증권사에게 내는 것
이렇게 2번 수수료가 발생
보수 언제 낼까?
거래 수수료는 사고팔때 나가는 거 잘 아실거에요
요즘엔 거의 수수료가 무료잖아요?
그런데 도대체 저 보수는 언제 어떻게 지불되는걸까요?
1년에 한 번씩 보수 내라고 연락이 올까요? 아니면 자동이체로 빠져나갈까요?
둘다 아님
정답은 "보수는 매일매일 주가에 반영된다"
응? 머라구?
이게 도대체 무슨말이냐..
이해하기 쉽게 KODEX200 ETF로 예를 들어볼게요
네이버 금융에 들어가면
현재 KODEX200 ETF 1주에 약 34,000원이고
연간 보수가 0.15%
즉, 1주를 사면
1년에 내야 하는 보수가
34,000 * 0.15% = 51원 인데,
1년에 한번만 내는 거니깐 51원을 365일로 나누면
보수를 매일 0.1원씩 내야한다는 결론이 나옴
즉, ETF를 매수하는 날부터
총보수를 1할 계산으로
매일 조금씩 빠져나가는 것
그리고 이 모든게 이미 우리가 보는
주가에 반영이 된 것
만약에 KODEX200 ETF 1주를 오늘 사고
5일 뒤에 매도를 했다면
보수는 0.5원만 내는거고
그 보수까지 다 계산이 돼서
내 계좌에 현금이 들어오는것
즉 우리한테 보이는 etf의 가격 자체에
이미 보수가격이 반영이 되어있는거고
그래서 매수할 때 보수까지 자동으로 내면서 매수를 하는것
끝
쏘씸플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변경된 공모주 청약 배정 방법ㅣ 균등방식이란? (2) | 2021.01.31 |
---|---|
공매도 금지 해제 이후, 주식시장 하락할까? (3) | 2021.01.15 |
ESG 관련 ETF/ESG 등급 평가항목 [ESG투자 2편] (0) | 2021.01.08 |
EGS 투자란? 알고 투자하자 [ESG투자 1편] (1) | 2021.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