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매도 재개하면 코스피 2000대로 돌아갈 것"…뿔난 개미들 [개미와 공매도 中]
[편집자주] 공(空)매도 재개를 앞두고 개인투자자들, 이른바 동학개미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전인미답으로 여겨진 코스피 3000시대가 열렸지만 공매도 재개가 랠리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는
news.naver.com
최근에 공매도 금지 해제가 큰 이슈가 되고있다
공매도 금지가 해제되면
주식시장이 하락할거라는 우려감 때문이다.
국민청원까지 등장..!
공매도 금지 해제하면
정말 주식시장이 하락할까?
2008년과 2011년의
공매도 금지 해제 이후
시장은?
과거 사례를 통해 분석해보자
과거에 공매도가 금지된 적이 2번 있었음
1차 : 2008년 10월 1일~2009년 5월 29일
→ 공매도 금지 사유 : 금융위기로 인한 폭락 방지
2차 : 2011년 8월 10일~2011년 11월 9일
→ 공매도 금지 사유 : 유럽재정위기로 인한 폭락 방지
3차 : 2020년 3월 16일~2021년 3월 15일(역대 최장기간)
→ 공매도 금지 사유 : 코로나로 인한 폭락 방지
해제된 이후 주식시장은 어떻게 되었을까?
1차 : 2008년 10월 1일~2009년 5월 29일
공매도 금지 해제이후
→ 코스피 : 한달 동안 횡보, 3개월동안 상승, 이후 약 2년동안 상승세 지속
→ 코스닥 : 한달동안 상승, 3개월동안 횡보, 이후 2014년까지 횡보 유지
2차 : 2011년 8월 10일~2011년 11월 9일
공매도 금지 해제이후
→ 코스피 : 한달동안 하락, 3개월동안 상승세, 이후 2016년까지 횡보세
→ 코스닥 : 한달동안 보합세, 3개월동안 횡보, 이후 2014년까지 횡보 유지
결론은?
정답은 없음
기준을 길게잡냐 짧게 잡냐에 따라
당시 시장 상황에 따라서
다르게 해석할 수 있기 때문
2008년의 경우에는 공매도 금지 해제 이후
약 2년 정도 상승장이 시작되는 초입이었다는 점
2011년의 경우 공매도 금지 해제 되기 전에
대세 상승장이 끝난 후 박스권에 갇히는 시작지점이었다는 점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음
하지만 명확한 건
공매도 금지가 해제된 이후에
코스피와 코스닥 모두
엄청난 하락세를 보인 적은 없었고
결국 장기적으로는 현재 좋은 흐름을 보이고 있음
(그렇다고 이번에도 100% 폭락이 없을거라는 보장은 없음)
그렇다면
공매도 금지가 해제된 이후
외국인과 기관투자자
수급은 어땠을까?
1차 공매도 금지 해제 이후
3개월 동안 코스피 순매수 흐름
→ 외국인투자자 : 매수세 우위
→ 기관투자자 : 매도세 우위
2차 공매도 금지 해제 이후
3개월 동안 코스피 순매수 흐름
→ 외국인투자자 : 매수세 우위
→ 기관투자자 : 매수세 우위
여기서 포인트는
주식시장의 큰손인 외국인투자자가
1,2차 모두
큰 매도세를 보이지 않았다는 점
1,2차 공매도 금지 해제 이후
공매도 집중됐던
종목은?
1차 공매도 금지 해제 이후 3개월동안
코스피 공매도 거래량 TOP5
1. 기아차
2. SK하이닉스
3. LG디스플레이
4. 현대차
5. 삼성중공업
1차 공매도 금지 해제 이후 3개월동안
코스닥 공매도 거래량 TOP5
1. 한양이엔지
2. 서울반도체
3. 동국산업
4. 유비케어
5. 다날
2차 공매도 금지 해제 이후 3개월동안
코스피 공매도 거래량 TOP5
1. SK하이닉스
2. KODEX200
3. LG디스플레이
4. LG전자
5. 팬오션
2차 공매도 금지 해제 이후 3개월동안
코스닥 공매도 거래량 TOP5
1. 유비케어
2. 서울반도체
3. 차바이오텍
4. 원익홀딩스
5. 코엔텍
결론은
공매도 금지 기간 동안
상승폭이 컸던
종목들이 공매도 대상이었음
따라서 올해에도
그동안 상승폭이 컸던 기업이
공매도 대상이 될 수 있음
2021년 공매도 금지 해제 이후
하락이 우려되는 종목
단순하게 생각해보면
공매도 자체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종목에 투자하는 거라서
내재가치 대비 주가가 많이 오른 종목에 집중될 수 밖에 없음
또한 공매도가 금지되기 직전에
공매도 잔고수량이 많은 종목도
우려대상
공매도가 금지 되기 직전
2020년 3월 13일 당일
코스피 공매도 잔고수량 TOP10
2020년 3월 13일 당일
코스닥 공매도 잔고수량 TOP10
(바이오기업 多)
그런데 찾다가
재밌는 걸 발견함
공매도 금지 이후 지금까지
공매도 잔고수량을 조회했더니
위 자료랑 다름...?
뭐야???????
누가 몰래 공매도햇냐
딱걸렸어!!
범인은 바로...
시장조성자!!!!!
Regulation | 매매거래제도 | 유가증권시장 | 시장운영 및 관리 | 시장조성자제도
주식 시장조성자는 투자매매업 인가를 받은 거래소의 결제회원으로서 시장조성을 위한 전산시스템을 구축하고 소속 임직원 중 시장조성 담당자를 지정해야 합니다. 주식 시장조성자는 최근 1
regulation.krx.co.kr
범인을 찾았는데
읽어봐도
누군지 모르겠음..
답답
쉽게 이해해보자!!
시장조성자란
종목의 원활한 거래를 위해
매수·매도 호가를 지속적으로 제출하는 거래인이나 거래회사를 말함
한국거래소가 만든 제도
쉽게말해서
유동성이 부족해서 거래가 잘 안되는
종목에 직접 개입해서
매수와 매도 호가 물량을 늘려주는 역할을 함
예를 들어 사려고하는 사람이 부르는 가격과
팔려는 사람이 부르는 가격 간의 차이가 크거나
특정 주식을 사려는 사람은 많은데 팔려는 사람은 너무 적을 때
시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시장 조성자들이 개입해 주문을 내는 것이다.
그러면 호가 물량이 늘어나 거래가 원활하게 성사됨
ETF를 운용하는 증권사, 자산운용사가 여기에 해당됨
현재 한국거래소와 시장조성자 계약을 체결한 곳은
KB증권, NH투자증권, 미래에셋대우, 메리츠증권 등이 있음
(2020년 1월 2일 기준)
그러면 시장조성자들은
어떻게
공매도 금지 기간 동안
공매도를 할 수 있었을까?
시장조성자들은 공매도가 금지되든 아니든
계속해서 매수매도 호가를 제시해야되기 때문
그런데 여기서 매도 호가도 제시해야되는 게 문제가 됨
A주식에 대한 매도호가를 제시하려고하는데
A주식을 안갖고 있으면, 어떡해?
주식을 빌려서 매도호가를 넣어야함
그러면 시장조성자는 의도치않게 공매도를 하게 됨
따라서 2020년 3월 13일 기준으로 보이는
공매도 잔고수량과
2020년 3월 16일 이후부터 지금까지 보이는
공매도 잔고수량이 다른 것
참고로 외국인투자자는 공매도 금지기간 동안
정말로 공매도 안됨
궁금증 해소
후련~
마무리는
공매도 통계 현황 보는 곳 공유!!!
KRX 공매도 종합 포털
KRX 공매도 종합 포털 공매도 관련 종합정보를 제공하는 포털
short.krx.co.kr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변경된 공모주 청약 배정 방법ㅣ 균등방식이란? (2) | 2021.01.31 |
---|---|
ESG 관련 ETF/ESG 등급 평가항목 [ESG투자 2편] (0) | 2021.01.08 |
EGS 투자란? 알고 투자하자 [ESG투자 1편] (1) | 2021.01.08 |
ETF 수수료(보수) 언제 낼까? (1) | 2020.12.02 |